/ PYTHON

Python - Python 숫자 계산하기

Python

Python 숫자 계산하기




1.정수 계산하기



파이썬은 파이썬 셸을 통하여 입력한 코드의 결과를 즉스 출력할수 있었다. 파이썬의 숫자의 타입은 정수, 실수, 복소수가 있다. 정수는 말그대로 123같은 숫자를 나타내고 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 복소수는 제곱을 할때 -가 나오는 수를 말한다. 정수는 int, 실수는 float, 복소수는 complex라고 한다.



사칙연산

사칙연산은 +,-,*(곱하기),/(나누기)를 사용할 수 있다.


1+1
# 2
1-1
# 0
1-2
# -1
2*2
# 4
5/2
# 2.5
4/2
# 2.0

연산자 // (버림 나눗셈)

나눗셈후 소수점 이하를 버리는 연산자는 //이다. 정수로 계산을하면 정수로 테이터를 얻을수 있다. 하지만 실수로 계산하면 실수로 나오고 소수점 이하는 버리게되어 .0으로 나오게된다.

5 // 2
#2
4 // 2
# 2
5.5 // 2
# 2.0
4 // 2.0
# 2.0
4.1 // 2.1
# 1.0


연산자 %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로 나누기를 하게되면 나머지 값을 구할 수 있다.


5 % 2
# 1

연산자 ** (거듭제곱을 구하는 연산자)



**를 사용해 거듭 제곱을 할 수 있다.


2**3
# 8
2**10
# 1024

값을 정수로 만들기



계산결과가 실수로 나왔을때 강제로 정수로 만들 수 있다. int뒤에 괄호를 붙이고 숫자 또는 계산식을 넣어주면 된다. int뒤에 문자열을 넣어도 정수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정수로된 문자열만 가능하다. 실수 문자열을 넣어주면 아래와 같은 문법오류가 나온다.


int(5.20)
#5
int('10.3')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   File "<pyshell#14>", line 1, in <module>
#     int('10.3')
# ValueError: invalid literal for int() with base 10: '10.3'
int(-8.3)
#-8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객체의 타입을 알아내는 함수는 type이고 ()에 타입을 확인하고 싶은 데이터를 넣는다. <class ‘int’>라고 하는것은 정수라는 이야기고 class는 python에서 객체를 나타내는 표현법이다. 정수로 만드는 방법인 int()의 경우 ()안의 데이터를 int클래스로 된 객체로 만들겠다는 말이다.


type(10)
      
# <class 'int'>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하기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하려면 diwmod를 사용한다.


divmod(5, 2)
      
# (2, 1) 데이터를 괄호로 묶은 형태를 튜플(tuple)이라고 한다.

a, b = divmod(5, 2)
      
print(a, b)
      
2 1

2진수, 8진수, 16진수



정수는 10진수 이외에도 2진수, 8진수, 16진수로도 표현할 수 있다.

  • 2진수: 숫자 앞에 0b를 붙이며 0과 1을 사용한다.

  • 8진수: 숫자 앞에 0o(숫자 0과 소문자 o)를 붙이며 0부터 7까지 사용한다.

  • 16진수: 숫자 앞에 0x 또는 0X를 붙이며 0부터 9, A부터 F까지 사용한다(소문자 a부터 f도 가능).


0b110
# 6
0o10
# 8
0xF
# 15


2.실수 계산하기



소수점이 붙은 것을 실수라한다. 실수의 계산을 알아보자. 아래 뺄셈의 경우 다소 어려운 주제이다. 실무에서 실수를 다룰때는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3.5+2.1
# 5.6
4.3-2.7
# 1.5999999999999996
1.5*3.1
# 4.65
5.5/3.1
# 1.7741935483870968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할 경우 표현 범위가 넓은 실수로 출력된다.


4.2+5
# 9.2

표현범위(출처 : 코딩도장)

값을 실수로 만들기



어떤 값을 강제로 실수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float는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에서 따왔으며 값을 실수로 만들어준다. 즉, 실수는 float 자료형이며 type에 실수를 넣어보면 <class ‘float’>가 나온다.


float(1+2)
#3.0
float('5')
# 5.0
float(5.3)
# 5.3

type(3.5)
      
<class 'float'>

복소수



파이썬에서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이루어진 복소수(complex number)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허수부는 숫자 뒤에 j를 붙인다(수학에서는 허수를 i로 표현하지만 공학에서는 j를 사용한다).두 실수를 복소수로 만들 때는 complex를 사용하면 된다.


1.2+1.3j
# (1.2+1.3j)
#두 실수를 복소수로 만들 때
complex(1.2, 1.3)
# (1.2+1.3j)


3.괄호 사용하기



곱셈보다 덧셈을 먼저 계산하고 싶다면 괄호로 묶어준다.


7 + (10 - 5) * 2
# 17